![도매시장의 4대 기능](/m/images/market/sec_tit01_1.png)
- 상적(商的)유통기능
- 농산물의 매매거래에 대한 기능 가격형성, 금융기능, 대금결제, 위험부담 등의 기능이 있습니다.
- 정보(情報)수집 및 전달 기능
- 농산물 유통정보에 대한 기능시장동향, 가격정보등의 수집 및 전달기능이 있습니다.
- 물적(物的)정보기능
- 농산물의 이동에 관한 기능농산물의 집하, 분산, 저장, 보관, 하역, 운송 등의 기능이 있습니다.
- 수급(需給)조절기능
- 농산물의 공급량, 수요량 조절 기능도매시장법인 및 중도매인에 의한 물량반입, 반출, 저장, 보관에 의해 농산물의 가격변동 및 수요량을 조절합니다.
![도매시장의 역할](/m/images/market/sec_tit01_2.png)
-
- 01. 유통구조 경쟁력을 강화
- 유통시장개방, 대형유통업체의 Market Share 확대, 농산물 수입개방 등 농산물 유통구조의 변화에 대응하여 우리 농산물 유통구조의 경쟁력을 강화 시킵니다.
-
- 02. 유통비용 최소화
- 생산자에게는 안정된 판로확보 및 적정가격을 보장하고 유통비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소득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하고 소비자에게는 원하는 양질의 농산물을 적절한 가격으로 원활히 공급 합니다.
-
- 03. 물가안정에 기여
- 공익성과 공공성에 입각하여 불공정 거래행위를 근절함으로써 농산물의 적정가격을 유지하며 물가안정에 기여 합니다.
-
- 04. 원활한 유통체계 확립
- 유통구조 합리화 정책에 부응한 물류 선진화 및 유통정보 Data Base 구축을 통한 유통정보활용 효율화로 원활한 유통체계를 확립하여 국민생활의 안정을 도모합니다.
-
- 05.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
- 수도권지역의 중앙도매시장으로써 그 기능과 역할을 다하여 유통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지역경제내의 고용창출 및 지자체 세수증대 등 인천지역경제활성화에 기여합니다.
-
- 06. 효율적이고 공정한 유통구조 확립
- 도매시장 관리운영체제를 저비용 고효율화하여 거품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그 이익을 분산시키고 하역서비스 향상, 전자경매의 실시 등으로 경매비리를 근절하여 보다 공정한 유통가격을 형성시킵니다.
스크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