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농업인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며, 우리농업의 당면과제를 해결하고 미래농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부평농산의 자유게시판입니다.

공지사항 제목, 날짜, 내용에 대한 정보

멈춰 있던 서울 아파트값, 상승 전환…“재건축 단지 위주로 가격 올라”

2025-02-06
4주 연속 지속되던 서울 아파트값 보합(0.00%)세가 5주 만에 반등했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월 1주(3일 기준) 전국 주간아파트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달 20일 대비 0.02% 상승 전환했다. 부동산원은 “대출규제 등의 영향으로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재건축 추진단지 등 선호단지에서는 거래가능 가격이 상승하면서 서울 전체 상승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자치구별로는 강북 14개구(0.01%)에선 용산구(0.05%), 마포구(0.05%), 광진구(0.04%) 등의 지역의 아파트값이 상승한 반면 노원구(-0.03%), 은평구(-0.01%) 등은 하락했다. 경기광주역 민간임대아파트 강남 11개구(0.03%)에선 소파구(0.13%), 서초구(0.06%), 양천구(0.04%) 등은 올랐으나, 강동구(-0.03%), 동작구(-0.01%) 등의 가격은 내렸다. 전국 주간아파트값의 하락폭도 지난 20일(-0.05%) 대비 축소된 –0.04%로 집계됐다. 수도권(-0.03%→-0.02%)과 지방(-0.7%→-0.06%)의 하락폭이 모두 축소되면서다. 수도권에선 인천과 경기가 각각 0.08%, 0.03% 하락했다. 지방에선 5대 광역시와 세종이 각각 0.08%, 0.07% 떨어졌고 8개도도 0.04% 하락했다. 전국 주같아파트 전셋값은 지난달 20일(-0.01%) 대비 보합(0.00%) 전환됐다. 수도권(-0.01%→0.00%)은과 지방(-0.01%→0.00%)이 광주역민간임대 모두 보합 전환된 가운데, 서울(0.00%→0.01%)은 상승 전환했다. 서울의 경우 일부 입주물량의 영향이 있는 단지 및 외곽지역에서 전셋값이 하락하고 있으나, 학군지 및 신축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계약이 체결되며 상승 전환된 것으로 파악된다. 강북 14개구(-0.01%)는 도봉구(0.03%), 노원구(0.02%) 등 지역에서 상승이 이뤄진 반면 성동구(-0.08%), 성북구(-0.03%), 중랑구(-0.03%) 등 지역은 하락했다. 강남 11개구(0.02%)는 구로구(-0.05%), 강동구(-0.02%) 등 지역이 하락했지만 송파구(0.07%), 양천구(0.05%), 영등포구(0.04%) 등은 상승했다. 경기광주 임대아파트 서울을 제외한 인천은 0.02% 하락했지만, 경기는 보합(0.00%)세를 유지했다. 지방에선 5대광역시와 세종이 각각 0.01%, 0.08% 하락했으나, 8개도는 보합(0.00%)으로 집계됐다.
스크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