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농업인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며, 우리농업의 당면과제를 해결하고 미래농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부평농산의 자유게시판입니다.

공지사항 제목, 날짜, 내용에 대한 정보

상가 경매 급격한 ‘한파’…낙찰률·낙찰가율 ‘동반 하락’

2025-02-02
경기 침체에 따른 매출 감소로 인해 상가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경매시장에서 상가 낙찰률과 낙찰가율이 동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설 연휴 직전인 24일까지 서울 상가 경매 진행 건수는 모두 258건으로 이 가운데 40건(낙찰률 15.5%)이 낙찰됐다. 20건 중 3건만 경매에서 새 주인을 찾은 것이다. 서울 상가 낙찰률은 작년 9월(15.9%) 10%대로 떨어진 뒤 △10월 15.6%, 11월 12.3%, 12월 12.2% 등으로 10%선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구성역 민간임대 아파트 이와 함께 구성역 임대아파트 지난 1월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도 전월 대비 3.0%포인트(p) 하락한 68.1%를 기록했다. 평균 응찰자 수도 1.38명에 그쳤다. 평균 응찰자 수는 작년 8월(1.68명) 이후 줄곧 1명대에 머물고 있다. 수도권 지역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지난달 경기도 상가 낙찰률은 14.8%로 전월보다 0.2%p 떨어졌으며, 낙찰가율은 48.1%로 2023년 3월 이후 처음으로 40%대로 내려앉았다. 낙찰가가 감정가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는 의미다. 평균 응찰자 수도 작년 6월(3.82명)을 마지막으로 2명대를 지속하고 있다. 인천도 1월 낙찰률과 낙찰가율에서 각각 16.5%, 65.6%를 기록했다. 다만 인천의 경우 전월(낙찰률 16.5%·낙찰가율 58.1%)보다는 낙찰률과 낙찰가율이 다소 상승했다. 부동산 업계 구성역 민간임대 일각에선 이같은 경매 동향이 최근 경기 침체로 상가 수요가 예전 같지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부동산원이 최근 발표한 작년 4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차시장 분석에 따르면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위축 심화로 상가 임대가격지수가 전분기 대비 하락했다. 또한 중·대형상가와 집합상가의 투자 수익률도 전분기 대비 내렸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경매 진행 건을 들여다보면 워낙 경기가 안 좋아 신도시 단지 내 상가 같은 입지가 나쁘지 않은 곳에서도 유찰되며 매물이 쌓이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스크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