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농업인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며, 우리농업의 당면과제를 해결하고 미래농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부평농산의 자유게시판입니다.

공지사항 제목, 날짜, 내용에 대한 정보

6000가구에 초등학교·유치원 0곳… 폭발한 한남3 주민들

2025-01-16
'단군 이래 최대 재개발'로 불리는 서울 용산 한남3재정비촉진구역이 학교 없이 조성될 상황에 처했다. 오산세교 하우스토리 더센트럴 서울시가 사업장 내 학교용지를 '공공공지'로 변경하기로 한 것으로 조합은 탄원서까지 제출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세교 하우스토리 ■한남3 '학교용지→공공공지' 변경 예정 16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23일 재정비위원회에서 한남 3구역내 학교 부지 관련 촉진계획을 변경하기로 했다. 계획된 학교용지를 올해 1·4분기 내에 공공공지로 바꾸는 것이 골자로 조만간 조합 분담을 다시 조정할 예정이다. 최근 학령인구가 줄면서 신축 입주 후 학교용지가 방치되는 사례가 나와 여러 활용이 가능토록 용도를 변경하겠다는 것이 이유다. 다만 서울시측은 향후 수요에 맞춰 다시 학교를 설립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열어뒀다. 하지만 조합은 이같은 결정에 동의할 수 없다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5988가구 대단지에 초등학교와 병설유치원 설립이 사실상 무산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입장이다. 조합 관계자는 "공공공지로 바뀌면 토지 소유권은 교육청이 아닌 서울시로 넘어가게 되고, 학교가 아닌 체육관이나 추가 임대주택이 들어설 수도 있다"고 항변했다. 일각에서는 시가 조합의 땅을 무상으로 가져가 교육청에 돈을 받는 '땅 장사'를 하려 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토지 용도가 '학교부지'일 경우 학교 신설 비용을 조합이 부담하지만 '공공공지'로 지정되면 토지 비용의 50%와 건축비는 교육청이 부담하게 된다. 때문에 조합은 전일 서울시에 보낸 탄원서에서 "교육청은 유상으로 학교부지를 매입하게 되면 예산부족으로 학교신설을 못한다고 한다"며 "무상으로 교육청에 준다고 약속하거나 원래대로 학교부지로 전환해 달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도보 50분 걸어야…안전 우려도 이에 대해 서울시 오산 세교 하우스토리 관계자는 "우리가 토지를 빼앗는 개념이 아니다"라며 "토지 용도의 중간 장치를 마련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남3구역은 서울시 권고에 따라 가구수의 절반가량인 3000여가구가 소형평형으로, 그중에서도 1100가구가 공공임대주택으로 지어진다. 조합원 A씨는 "임대세대도 1000가구가 넘고 신혼부부 거주율이 높을 것이 자명한데 유치원과 초등학교 하나 없다는게 말이 안된다"고 비판했다. 초등학교가 신설되지 않으면 입주자들은 사업지 동측의 한남초등학교로 배정을 받는다는 것이 조합의 설명이다. 사업지 서측의 보광초등학교는 한남2·4구역 거주자들이 배정 받도록 되어있어서다. 단지 내 남서측에서 한남초등학교까지는 도보로 40~50분가량이 소요되며 오르막길을 올라야 한다. 또 10차선의 한남대로 위 육교를 건너야 해 안전사고가 우려된다.
스크롤 위로